반응형

전체 글 255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 정리(Feat. 전력 반도체)

글로벌 전기차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정부와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투자 확대로 주목을 받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장 전망 차량용 반도체는 전기차의 수요 증가와 함께 가격이 높아지고,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차의 경우 약 200여 개의 반도체가 탑재되며, 전기차는 1000개, 자율주행 차량은 2000여 개에 달하는 반도체가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업계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7년 경에는 807억 달러, 2030년 경에는 110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혹한기에도, 車반도체는 호황 반도체 혹한기에도, 車반도체는 호황 biz.chosun.com 업계에 따르면 20..

카테고리 없음 2023.03.26

23.03.24(금) 시황 및 주요 이슈

2023년 3월 24일 금요일 일일시황 / 상승률 상위 업종 / 주요 이슈 정리 국내 증권 시황 - 코스피: 2414.96 (-0.39%) - 코스닥: 824.11 (+1.47%) - 환율: 1306.00 (+22원) - 코스피는 장중 2400선을 이탈했으나 외인의 삼성전자 매수세에 힘입어 하락폭을 소폭 만회하며 약보합으로 마감. 코스닥은 반도체 소부장 관련 섹터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외인, 기관 양매도에도 불구, 상승 마감 - 반도체 소부장 강세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일 정상회담 경제 분야 후속 조치 과제로 용인에 조성될 반도체 클러스터에 양국 간 공급망 협력을 구체화하기 위한 관계부처 협의체를 가동 예정임을 언급 - 아시아 주요 증시 -> 대만 제외 일본, 홍콩, 중국은 하락 마..

일일시황 2023.03.24

23.03.23(목) 시황 및 주요 이슈

2023년 3월 23일 목요일 일일시황 / 상승률 상위 업종 / 주요 이슈 정리 국내 증권 시황 - 코스피: 2424.48 (+0.31%) - 코스닥: 812.19 (-0.15%) - 환율: 1286.00 (-2.0원) - 3월 FOMC회의서 기준금리 25bp 인상 결정. 최종금리 5.1% 전망 -> 5월 마지막 한 차례 인상 전망 - 전일 미 증시는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하락 마감하였으나 코스피는 원달러 하락과 연내 금리인상 마무리 국면에 대한 기대감으로 장초반 하락폭을 만회하며 상승 마감. 코스닥은 외인, 기관 양매수세에도 불구 하락 마감 - 비트코인은 파월의 매파적 발언에 4%대 하락 - 미국 3월 3.12~3.18 기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19만 1000천 건으로 시장 전망치(19만 7..

일일시황 2023.03.23

2023 미국 암학회 참가 기업 정리

2023 미국 암학회(AACR 2023) 참가 예정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및 주요 발요 내용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암학회(AACR) 미국 암학회(AACR)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학회 중 하나로, 매년 전 세계 120여 개국의 석학들이 참가하고 있습니다. 주로 전임상 등 초기 단계 연구 성과를 발표 및 공유하는 자리로서, 파이프라인의 가능성을 검증받고 경쟁력 있는 후보물질의 기술 이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AACR 2023 일정: 2023.4.14(금) ~ 2023.4.19(수) - 현지시간 장소: 플로리다주 올랜도 오렌지카운티 컨벤션센터 ▶ 주목할만한 분야 KRAS 표적 신약 -> 한미약품, 에스티팜 최근 암젠사의 '루마크라스..

카테고리 없음 2023.03.23

23.03.22(수) 시황 및 주요 이슈

2023년 3월 22일 수요일 일일시황 / 상승률 상위 업종 / 주요 이슈 정리 국내 증권 시황 - 코스피: 2416.96 (+1.20%) - 코스닥: 813.43 (+1.36%) - 환율: 1306.50 (-1.0원) - 코스피, 코스닥 -> 외인과 기관 양매수세 힘입어 동반 상승 - 미 정부 금융권 리스크 추가 조치 언급(옐런 재무부 장관)에 전일 미국 증시 상승 영향 - 미 상무부 -> 미국 투자 보조금 수령 시, 10년간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량(웨이퍼 공급량 기준) 5% 이상 증산이 불가하다는 가드레일 세부 규정 초안 발표(60일간 의견 수렴 후 최종 확정안 발표 예정).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생산 차단 위기는 모면했으나 메모리 사이클 호황시 생산량 제한은 이익 극대화에 큰 부담으로 작용..

일일시황 2023.03.22

23.03.21(화) 시황 및 주요 이슈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일일시황 / 상승률 상위 업종 / 주요 이슈 정리 국내 증권 시황 - 코스피: 2388.35 (+0.38%) - 코스닥: 802.53 (+0.04%) - 환율: 1307.5 (-1.0원) - 코스피는 기관 매수세에 힘입어 소폭 상승, 코스닥은 외인, 기관 양매도에 강보합 마감 - 이번 주(3.23 목요일 새벽 3시) FOMC 앞두고 관망세 지속으로 상승폭 제한 - 시장 참여자 약 75%가 이번 FOMC회의서 25bp 인상을 전망 - 기관 주요 매수 종목 -> 금양, 코스모화학(코스피200 편입 기대감) - 중국의 한한령 해제 기대감과 국내 게임사 대상 판호 발급으로 엔터, 게임주 강세 - 한국 우주 스타트업 기업 '이노스페이스' -> 국내 첫 민간 발사체 '한빛-TLV' 발..

일일시황 2023.03.21

23.03.20(월) 시황 및 주요 이슈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일일시황 / 상승률 상위 업종 / 주요 이슈 정리 국내 증권 시황 - 코스피: 2379.20 (-0.69%) - 코스닥: 802.20 (+0.60%) - 환율: 1309.00 (-0.5원) - 코스피 장중 2400선 회복 시도했으나 실패, 코스닥은 7 거래일만에 800선 회복 - UBS의 CS인수 소식으로 금융 리스크에 대한 불안감은 감소했으나 이번 주 FOMC 회의를 앞두고 추가 긴축 우려로 외인 매도세 증가 - 3.20일 오후 유럽 시장은 CS인수 소식에도 불구, 여전한 금융위기에 대한 불안감으로 하락출발 - 강세 업종 -> 리오프닝 섹터(여행, 면세, 항공, 화장품, 카지노 등) - 금융위기, 경기침체 우려감 확대로 국제 유가 하락세 지속 -> 서부텍사스산 원유 배럴당..

일일시황 2023.03.20

전고체 배터리 소재·장비 관련주 정리

최근 개최된 '인터배터리 2023'을 통해 배터리 업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배터리 3社 격돌'에 뜨거운 관심…전고체·LFP 기술 쏟아져 'K배터리 3社 격돌'에 뜨거운 관심…전고체·LFP 기술 쏟아져, 인터배터리展 코엑스서 개최 477개社 참가 역대 최대 규모 LG엔솔, LFP 배터리 시제품 삼성SDI '전고체 모형' 선보여 SK온, 파우치 대신 www.hankyung.com 전고체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이 들어가는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달리 고체 전해질을 사용합니다. 단점보다 장점이 많기 때문에 현재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며 업계의 상용화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장점 - 내구성, 내열성이 뛰어나 폭발 위험성이 낮아 안..

카테고리 없음 2023.03.19

23.03.17(금) 시황 및 주요 이슈

2023년 3월 17일 금요일 일일시황 / 상승률 상위 업종 / 주요 이슈 정리 국내 증권 시황 - 코스피: 2395.69 (+0.75%) - 코스닥: 797.39 (+1.97%) - 환율: 1302.2 (-10.8원) - 코스피, 코스닥 모두 외인과 기관 양매수에 힘입어 반등 (주도 섹터: 로봇, 반도체) - 금융권 파산 우려감 저하로 투자심리 반등(미국 대형은행들 -> 유동성 위기에 처한 중소 지역은행 퍼스트리퍼블릭에 300억 달러 예금 지원) - 다음 주 FOMC 기준금리 발표 앞두고 관망세 지속 전망 (금융 리스크에도 불구 0.25%P 인상 유력) - 반도체 ▷ SK하이닉스 1분기 실적 저점 기대감으로 매수세 유입 ▷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구축 호재 ▷ 한일정상회담 - 일본산 불화수소, 불화..

일일시황 2023.03.17

23.03.16(목) 시황 및 주요 이슈

2023년 3월 16일 목요일 일일시황 / 상승률 상위 업종 / 주요 이슈 정리 국내 증권 시황 - 코스피: 2377.91 (-0.08%) - 코스닥: 781.98 (+0.1%) - 환율: 1312.5 (-6.5원) - 크레딧스위스(CS)의 지속적인 고객 자금 유출과 최대주주인 사우디국립은행이 CS에 대한 추가 지분인수를 단행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SVB사태에 이은 금융위기 불안감이 고조되었으나 CS가 스위스중앙은행으로부터 약 71조 규모 긴급 자금수혈을 진행한다는 소식에 증시는 안정을 되찾음 - CS발 여파로 코스피는 1%대 하락을 보이기도 했으나 낙폭을 줄이면서 코스피, 코스닥은 보합세로 마감 -> CS사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금융위기에 대한 불안감으로 당분간 글로벌 이슈에 따른 증시 변..

일일시황 2023.03.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