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기차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정부와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투자 확대로 주목을 받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장 전망
차량용 반도체는 전기차의 수요 증가와 함께 가격이 높아지고,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인해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차의 경우 약 200여 개의 반도체가 탑재되며, 전기차는 1000개, 자율주행 차량은 2000여 개에 달하는 반도체가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업계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7년 경에는 807억 달러, 2030년 경에는 1100억 달러 이상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혹한기에도, 車반도체는 호황
반도체 혹한기에도, 車반도체는 호황
biz.chosun.com
업계에 따르면 2022년도 반도체 매출 성장률의 경우 메모리 반도체는 10% 감소한 반면, 비메모리 분야는 5%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메모리 쪽에 편중되어 있던 국내 반도체 기업들 역시 삼성전자를 필두로 차량용 반도체와 같은 비메모리 시장으로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새로운 8나노 차량용 반도체 '드라이브 토르'의 상용화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 버전인 '드라이브 오린'에 이어 차기 모델 개발을 맡으면서 양사의 차량용 반도체 분야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미국의 AI 반도체 기업 '암바렐라'의 5 나노급 ADAS용 SoC(시스템온칩) CV3-AD685를 생산 소식과 함께 자율주행 분야에서 지속적인 고객사 확대로 2027년까지 파운드리 분야에서 모바일 외 매출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관련주 정리
차량용 반도체 관련 기업으로는 주로 팹리스 업체와 후공정 기업들이 주로 포진하고 있으며 이 외에 '차세대 전력 반도체'라고도 불리는 SiC(실리콘카바이드), GaN(산화갈륨) 전력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있습니다.
■ 텔레칩스
- 차량용 MCU, 인포테인먼트 AP 개발 기업
- 최근 자율주행 LV 2.5~3을 타겟으로한 NPU(신경망처리장치)를 적용한 ADAS용 반도체 칩 '엔돌핀'을 개발했으며 시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넥스트칩
- 차량용 카메라 영상처리 시스템 반도체 전문 기업
- 자체 개발 ISP, AHD 기술을 바탕으로 자율주행용 ADAS SoC(시스템온칩) '아파치' 시리즈를 출시
■ 라닉스
- 차량용 안테나·레이더 기업 '에이스안테나'와 협력하여 2024년 상용화를 목표로 차량용 MCU를 개발하고 있음
■ 에이팩트
- 반도체 후공정 기업으로 패키징·테스트 사업을 영위
- 시스템 반도체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차량용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도입하여 본격적인 양산을 준비하고 있음
■ 에이디테크놀로지
-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기업으로 삼성전자와 영국 ARM의 협력사
- 지난해 삼성전자와 협력으로 독일 AI 반도체 전문기업 '비디안티스'와 자율주행 SoC(시스템온칩) 개발 계약을 성사했으며 추가적으로 유럽과 미주지역 고객사 확보를 앞두고 있음
■ 코아시아
-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협력사
- 그룹 계열사 코아시아넥셀을 통해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와 차량용 반도체 '엑시노스 오토(Exynos Auto)'의 솔루션 개발, 고객 PoC(기술 검증) 등 기술 지원 협력을 진행 중
■ SFA반도체
- 반도체 후공정 분야 전문 업체로 천안 1 공장에서 메모리 반도체를, 2 공장에서는 시스템 반도체의 후공정을 담당하고 있음
- 지난해부터 차량용 이미지센서(CIS), 전력 반도체 분야 케파 확대에 나서고 있으며 물량 증가에 따른 신규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있음
■ 유니퀘스트
- 비메모리 반도체 솔루션 및 칩셋 유통 전문 기업
- 자회사 에이아이매틱스는 2006년부터 LDW(차선 이탈 경보), FCW(전방 추돌 방지), AASV(전방위 시야 확보) 등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부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자율주행용 AI 영상 인식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올해 삼성벤처투자, USAA와 함께 미국의 라이다용 반도체 전문 개발 기업 '루모티브'에 13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함
■ 아이에이
- 계열사 아이에이파워트론을 통해 차량용 EPS 전력반도체 모듈을 생산하고 있으며 현대차그룹에 납품하고 있음
- EPS 모듈은 차량의 핸들 방향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주행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함
■ 해성디에스
- 반도체 리드프레임 국내 1위 기업
- 차량용 반도체 리드프레임 공급
■ 제주반도체
- 반도체 팹리스 기업으로 IoT, 통신, 차량용 메모리 칩셋을 공급
- 최근 유럽 자동차 전장 업체의 공식 협력사로 등록되면서 MCP(멀티칩패키지) 납품을 시작함.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양산 예정
■ 어보브반도체
- 생활가전용 MCU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차량용 MCU 시장에 진출함
- 2021년 말 차량용 모바일기기 급속충전 MCU 출시를 시작으로 라이다 및 주차보조시스템(PAS)용 MCU를 개발하였으며 현재는 차량 제어용 MCU 개발을 진행 중
■ 픽셀플러스
- 반도체 팹리스 기업으로 차량용 CIS(CMOS 이미지센서) ‘PK5130KA’를 개발하였으며 ISO인증을 거쳐 2023년 하반기 양산 계획
■ 동운아나텍
- 2006년 설립된 반도체 팹리스 기업으로 카메라 모듈용 AF(자동초점) IC를 주력으로 하고 있음
- 차량용 햅틱 드라이버 IC를 개발하여 현대차 'GV80'등에 공급함 - 라이다 센서 기업 에스오에스랩과 MOU를 통해 자율주행용 라이다 IC 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 올해 2월 미국 차량용 반도체 기업 'Elevation Microsystems'에 25억 규모의 지분 투자를 진행하며 미국 전기차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음
■ 큐알티
- 차량용(자율주행), UAM용 반도체 소프트에러 테스트 장비 공급
- 소프트에러란 공기 중에 있는 미세한 중성자나 알파 입자가 반도체 미세 회로에 타격을 주면서 일시 오류를 일으키는 현상을 뜻함. 안전이 중요한 자율주행차, 무인 드론 등에 첨단 반도체가 탑재되면서 소프트에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추세임
■ 테크윙
- 반도체 후공정 장비 기업으로 최근 해외 차량용 시스템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테스트 핸들러 장비 공급을 추진하고 있음
- 테스트 핸들러 장비는 패키징 공정을 마친 반도체 칩을 검사장비로 이송하고, 불량 제품을 분류하는 자동화 장비임
■ LX세미콘
- 국내 1위 팹리스 기업으로 디스플레이구동칩(DDI)을 주력 제품으로 하고 있음
-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목적으로 최근 텔레칩스의 지분 10.93%를 취득하고 차량용 MCU 상용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음
■ 알파홀딩스
- 자회사 알파솔루션즈(시스템반도체 IP 개발 전문 기업)를 통해 차량용 SoC(시스템 온 칩-시스템반도체 소자)에 탑재되는 LVDS IP를 공급. 차량용 LVDS(저전압차등신호처리) IP는 자동차에 사용하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종 차량용 SoC에 담겨 양산되고 있음.
- IP는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특정 기능을 구현한 범용 회로 블록으로, 이 IP들이 맞물려 하나의 반도체 칩을 구현함. 반도체 설계기업이 라이선스 비용이나 로열티를 주고 IP를 활용하게 되며, 반도체 IP 기업도 큰 틀에서 반도체 팹리스에 포함된다.
■ 오킨스전자
- 반도체 후공정 전문 기업으로 검사용 소켓 제조, 반도체 테스트, 마그네틱 콜렛(반도체 칩 제조 공정의 필수 부자재), 전기차 배터리 커넥터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음
- 최근 차량용 전력 반도체의 산화막 반도체 전기장 효과 트랜지스터(모스펫, MOSFET) 테스트 설비 투자를 진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