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MLCC 관련주 TOP 6|2023년 업황 턴어라운드 기대

눈떵이 2022. 11. 29. 17:04
반응형

2023년 업황 턴어라운드가 기대되고 있는 MLCC 시장 전망과 함께 관련주 6 종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LCC-적층세라믹콘덴서-사진
MLCC 제품 사진 (출처: 삼화콘덴서)

 

MLCC란?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s)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 회로에 흐르는 전기를 보관한 뒤 일정량을 흘려보내는 일종의 '댐' 역할을 수행합니다. 과전류를 방지하여 제품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품과 부품 사이에 전파 간섭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그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 및 재질의 MLCC가 생산되고 있으며 약 0.3~5mm 크기의 제품에 최대한 많은 세라믹 층을 형성해야 더 많은 전력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도의 기술력을 요구하게 됩니다.

 

시장 전망

MLCC는 2021년 이후 중국의 봉쇄 조치와 더불어 스마트폰, 그래픽카드, 가전 등 IT업계 판매 부진의 영향으로 지금까지 침체기를 거치고 있습니다. MLCC 가격은 전년대비 약 10%가량 하락했으며 업계는 재고량 조절을 위해 선제적인 감산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업계는 장기적으로 MLCC 시장이 현재 약 17~20조 규모에서 2030년 경 50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글로벌 1위 MLCC 기업인 무라타 전자의 경우 업황 침체기에도 불구하고 최근 중국에 약 4300억 규모의 신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등 앞으로 늘어날 수요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MLCC-수급비율차트
MLCC 수급 현항 (출처: 트렌드포스)

 

대만의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가 글로벌 TOP 10 MLCC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BB Ratio(Book to Bill - 수주량/출하량 비율)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분기 1.68에서 올해 3분기 현재 0.86으로 수주물량보다 출하량이 많은 상태로 여전히 판매 부진을 겪고 있으며 이는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트렌드포스는 2023년 2분기를 기점으로 감산조치에 따른 재고량 감소와 함께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스마트폰 및 가전기기 신제품 출시로 MLCC 수요가 증가하며 업황이 턴어라운드가 기대되며 전장용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의 점진적 해소로 EV용 전자부품 수요 증가에 따라 MLCC 주문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MLCC 관련주 6종목

삼성전기, 삼화콘덴서, 아모텍, 코스모신소재, 네온테크, 대주전자재료

 

1. 삼성전기

삼성전기-주가차트
삼성전기

 

■ 관련 사업

- 글로벌 MLCC 시장점유율 2위 기업(약 23%)

- 600층 적층이 가능한 초소형 고용량 MLCC 생산 기술력 보유

- 필리핀 MLCC 생산 공장 증설 검토 중

 

■ 재무 정보

- 시총

- 22년 3분기 매출 2조 3837억, 영업이익 3110억, 당기순이익 2682억 (부채비율 43%, 유보율 1693%)

 

2. 삼화콘덴서

삼화콘덴서-주가차트
삼화콘덴서

 

■ 관련 사업

- 국내 유일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전력 콘덴서(FILM),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MLCC)를 생산하고 있음

- 올해 1월부터 테슬라에 드라이드 인버터용 MLCC 공급을 시작함

- LG전자, 현대모비스, LEAR사 등을 주거래처로 하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에 탑재되는 전장용 MLCC를 공급하고 있음

- 630V급 전기차용 고용량 MLCC 소재 및 부품 개발 국책과제에 참여함

 

■ 재무 정보

- 시총

- 22년 3분기 매출 603억, 영업이익 67억, 당기순이익 81억 (부채비율 27.9%, 유보율 1934%)

 

3. 아모텍

아모텍-주가차트
아모텍

 

■ 관련 사업

- 자체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고품질, 대용량, 고전압의 가전, 통신, 차량용 MLCC를 생산하고 있음

- 해외 60여 개 이상의 기업들과 MLCC 공급을 협의 중에 있으며 베트남 공장 라인 증설을 추진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 22년 3분기 매출 522억, 영업이익 -18억, 당기순이익 15억 (부채비율 113%, 유보율 3198%)

 

4. 코스모신소재

코스모신소재-주가차트
코스모신소재

 

■ 관련 사업

- MLCC 이형필름(Release Film) 글로벌 점유율 1위 기업

- 삼성전기에 공급되고 있는 이형필름의 약 70% 이상을 동사에서 공급하고 있음

- 올해 5월 충주공장 이형필름 생산 장비 신규 발주로 월 6500만㎡ 규모로 케파(CAPA) 확대를 추진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 22년 3분기 매출 1338억, 영업이익 108억, 당기순이익 108억 (부채비율 73.2%, 유보율 622%)

 

5. 네온테크

네온테크-주가차트
네온테크

 

■ 관련 사업

- 반도체 장비, 자동화 부품, 드론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전자동 MLCC Cutter(절단장비)를 공급하고 있음

- 동 사의 커터는 우수한 정밀 절단 기술 및 품질 유지 성능으로 시장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 22년 3분기 매출 125억, 영업이익 -15억, 당기순이익 -9억 (부채비율 105%, 유보율 845%)

 

6. 대주전자재료

대주전자재료-주가차트
대주전자재료

 

■ 관련 사업

- MLCC의 핵심 소재인 도전성 페이스트(Conductive Paste - 접착제) 생산 기업

- 2018년 기준 삼성전기에 MLCC용 전극 페이스트를 독점 공급하면서 큰 폭의 매출 성장을 기록함

 

■ 재무 정보

- 시총

- 22년 3분기 매출 402억, 영업이익 36억, 당기순이익 32억 (부채비율 125%, 유보율 12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