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글로벌 기획사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는 JYP엔터테인먼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이브를 포함한 국내 대표 기획사들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각종 공연 및 콘서트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동기간 음반 판매량 급증과 더불어 플랫폼 사업의 활성화와 꾸준한 신인 그룹 발굴 등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가온차트가 집계한 K-POP 음반 판매량은 5400만 장을 넘어서며 2021년 4170만 7301장 대비 약 31%가 증가하였으며 올 해는 70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유럽지역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 지역 팬덤 성장세가 두드러져 기존 일본지역에 집중되었던 수출비중이 지속적으로 다변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러한 K-POP의 확산과 함께 지난 9월 뉴욕 증권거래소에는 'KPOP and Korean Entertainment ETF'상품(티커는 KPOP)이 출시되었으며 당시 블룸버그 통신은 글로벌 시장 침체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는 국내 주요 엔터사들에 주목하기도 했습니다.

기업 정보
- 대표: 박진영
- 본사 소재지: 서울시 강동구 JYP센터
- 업종: 음악 및 기타 오디오물 출판업
- 설립: 가수 겸 프로듀서 박진영이 1997년 설립한 태흥기획을 모체로 2013년 코스닥 상장
- 주요 주주: 박진영(외 3인) 15.79%, 국민연금공단 7.25%
- 종속 기업: JYP360, JYP퍼블리싱, JYP픽쳐스
- 대표 아티스트: 2PM, 트와이스, DAY6, 스트레이키즈, ITZY, 보이스토리, 니쥬, 엔믹스, 엑스디너리 히어로즈 등
재무 정보
▶ 연간 실적 추이
구분 (단위 억) | 2019 | 2020 | 2021 | 2022 (상반기 합산) |
2022 (추정) |
매출 | 1,554 | 1,444 | 1,939 | 1,355 | 3,157 |
영업이익 | 435 | 441 | 579 | 434 | 974 |
당기순이익 | 312 | 296 | 675 | 319 | 722 |
- 증권사 컨센서스 -> 목표 주가 78,853원 (17개 증권사 기준 / 출처: 에프앤가이드)
▶ 22년 2분기 실적
구분 (단위 억) | 21년 2Q | 22년 2Q | 전년비 | 22년 3Q (추정) |
매출 | 406 | 678 | +67.1% | 846 |
영업이익 | 96 | 243 | +152.9% | 276 |
당기순이익 | 48 | 152 | +214.9% | 211 |
부채비율 | 25.6% | 25.5% | -0.1%p | N/A |
유보율 | 1051% | 1443% | +392%p | N/A |
- 해외 컨텐츠(유튜브 등) 수요 및 오프라인 활동 증가로 분기 최대 영업이익 달성
- 나연(트와이스) 미니 1집 판매 호조 및 구보 앨범 판매량 증가
- 오프라인 매출 증가 -> 콘서트(100억) / MD(86억) / 광고(51억)
- 오프라인 매출 비중 20% 수준 회복 (코로나 이전 약 30%)
- 해외 매출 비중 55% (일본 25%, 기타 지역 27%)
- 매출 증가 대비 제한적 고정비 증가로 마진률 상승
▶ 2Q 경쟁사 비교
구분 | JYP | YG | SM | HYBE |
시총 (10.27일자/억) |
19,204 | 7,935 | 16,609 | 47,556 |
매출(억) | 678 | 760 | 1,884 | 5,122 |
영업이익(억) | 243 | 93 | 194 | 883 |
당기순이익(억) | 152 | 86 | 254 | 989 |
영업이익률 | 35.8% | 11.2% | 10.5% | 17.2% |
PER(배) | 20.75 | 96.99 | 9.27 | 25.61 |
EPS(원) | 430 | 316 | 1,035 | 2,363 |
- 2017년 19%에서 2022년 30% 수준으로 연간 영업이익률 지속 증가
- 경쟁사 대비 아티스트들의 공백이 적고 음반·컨텐츠 제작과 유통에 집중된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사업 운영비 비중이 높지 않으며 종속 회사 리스크가 적음
- 경쟁사 종속 회사 현황
▷ HYBE : 게임 소프트웨어, 교육 서비스 등 48개
▷ SM : 주류, 광고, 모바일 앱, 화장품, 제과 등 29개
▷ YG : 금융, 화장품, 골프장 등 18개
▷ JYP: 음반 제작 및 유통, MD, 메니지먼트 관련 9개 (국내 3개 / 해외 6개)
아티스트 활동 현황 및 주요 사업 계획
▶ 아티스트 현황 및 주요 일정
- [트와이스] 상반기 월드투어 완료 및 하반기 앨범 컴백, 팬미팅 등 유닛 활동 예정
- [스트레이키즈] '빌보드 200' 1위 등극 및 11월부터 동남아 지역 월드투어 진행 예정
- [ITZY] 하반기 미니 앨범 등 3개 추가 앨범 발매 및 한국/미국 투어 예정
- [NiziU] 데뷔 후 기여매출 250억 돌파, 하반기 일본 지역 아레나 투어 예정
- [엔믹스] 앨범 50만 장 판매 돌파, 하반기 디지털 싱글 외 1개 추가 앨범 발매 예정
▶ 주요 사업 계획
- LOUD / NiziU Boy / Project. C / A2K Project 라인업 추가로 미국·일본 등 현지 아티스트 발굴 가속화 예정
- 제페토, 디어유, 포바이포 등 메타버스 관련 전략적 투자 확대 계획
- 자사몰 'JYP SHOP' 및 IP사업(MD커머스, 메타버스 BM연계, 라이센싱) 부문 확대 예정
- 컨텐츠 사업(유튜브 등) 확대로 해외 매출 비중 증대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