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니켈 양극재의 필수 소재인 수산화리튬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수산화리튬 자급률은 1% 미만 수준이며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수입되고 있는 전체 수산화리튬의 약 85%는 중국으로부터 공급되고 있어 美 IRA 시행에 따른 제재 및 중국의 자원 무기화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하이니켈 양극재 수요의 증가
고성능 전기차 생산이 늘어나면서 하이니켈 양극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이니켈 양극재는 니켈의 함량비를 80% 이상으로 끌어올려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켜 장거리 주행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또한 가격이 비싼 코발트 비중이 줄어들어 배터리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존 인산철(LFP) 배터리 대비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배터리 제조사의 분리막 기술 개발과 알루미늄 등의 첨가 소재를 활용하여 이를 보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수산화리튬의 역할
리튬이온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내 리튬이온(Li+)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게 됩니다. 리튬은 보통 탄산리튬 또는 수산화리튬의 형태로 정제되어 쓰이게 되는데, 니켈은 고온 상태에서는 리튬과 합성이 잘 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탄산리튬보다 상대적으로 녹는점이 낮은 수산화리튬이 하이니켈 양극재의 필수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수산화리튬 관련주
수산화리튬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에코프로
■ 관련 사업
- 계열사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탄산리튬을 수산화리튬으로 가공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美 리튬 업체 '아이오니어'로부터 7천 톤 규모 탄산리튬 수급계약 진행
- 2020년 경북 영일만 지역 730억 규모 수산화리튬 제조 공장 건설 착공 (국내 수요의 약 30% 수준 조달 목표)
■ 재무 정보
- 시총 3조 3570억
- 22년 2분기 매출 1조 2318억, 영업이익 1699억, 당기순이익 1024억 (부채비율 126.6%, 유보율 9778%)
2. 포스코홀딩스
■ 관련 사업
- 올해 3월 아르헨티나 염호 수산화리튬 상용화 공장 착공 (2024년 준공 예정)
- 2021년 계열사 포스코리튬솔루션을 설립하고 전남 광양에 4만 3천 톤 규모 수산화리튬 공장 착공 (2023년 준공 예정)
■ 재무 정보
- 시총 19조 4091억
- 22년 2분기 매출 23조 101억, 영업이익 2조 982억, 당기순이익 1조 7989억 (부채비율 73.4%, 유보율 11500%)
3. 미래나노텍
■ 관련 사업
- 올해 1월 양극재 소재 기업 미래첨단소재를 인수하여 수산화리튬 사업에 진출
-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케미칼, 엘앤에프 등에 수산화리튬 공급 중
- 8월 국내 메이저 양극재 업체와 100억 규모 공급 계약 체결
- 대구 지역 수산화리튬 신규 공장 증축 진행 중
■ 재무 정보
- 시총 4512억
- 22년 2분기 매출 1199억, 영업이익 53억, 당기순이익 -75억 (부채비율 94.5%, 유보율 1451%)
4. 성일하이텍
■ 관련 사업
- 올해 9월 군산 새만금 하이드로센터(습식 제련) 제3 공장 기공식 개최
- 2024년 제 3공장 준공 완료 시 수산화리튬 제품 대량 생산 계획
- 제1, 2 공장과 함께 전기차 40만 대 분의 코발트, 니켈, 수산화리튬 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1조 6840억
- 22년 2분기 매출 515억, 영업이익 100억, 당기순이익 91억 (부채비율 92.5%, 유보율 2509%)
5. 이브이첨단소재
■ 관련 사업
- 지난 7월 수산화리튬 생산 업체 리튬플러스에 50억 규모 투자(수산화리튬 공장 설립 목적)를 진행하면서 관련주로 편입되었으며 추가적으로 리튬플러스의 탄산리튬 구매 지원 예정
■ 재무 정보
- 시총 1050억
- 22년 2분기 매출 136억, 영업이익 -11억, 당기순이익 -108억 (부채비율 108.7%, 유보율 43.6%)
6. 코리아에스이
■ 관련 사업
- 최근 유니콘 기업 지피클럽에 피인수되면서 리튬 전문 기업으로 전환 계획을 내놓음
- 리튬 전문 기업 '리튬인사이트'와의 협력을 통해 원료 유통부터 탄산 및 수산화리튬 생산까지 수직계열화 구축 예정
■ 재무 정보
- 시총 2457억
- 22년 2분기 매출 22억, 영업이익 -10억, 당기순이익 -10억 (부채비율 39.9%, 유보율 533.8%)
7. 강원에너지
■ 관련 사업
- 자회사 강원이솔루션은 양극재 설비 엔지니어링 사업 및 수산화리튬 생산을 진행하고 있음
- 강원이솔루션의 무수수산화리튬은 수분함량이 적은 특징이 있고 양극재 업체에서 요구되는 미세 나노 입자 크기와 수분 함유율을 모두 충족함 (수분량을 최소화하여 약 60% 정도 부피 감소 효과가 있음)
- 지난 6월 경주시와 395억 규모 수산화리튬 및 양극재 첨가물 생산 공장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함 (2024년 완공 시 월 1천 톤 생산 예정)
■ 재무 정보
- 시총 2147억
- 22년 2분기 매출 204억, 영업이익 4억, 당기순이익 -14억 (부채비율 55.7%, 유보율 114.4%)
8. 대보마그네틱
■ 관련 사업
- 2021년 3월 충북 음성 수산화리튬 가공·처리 공장 준공 (연 3천 톤 규모 가공·생산 계획)
- 지난 8월 83억 규모 2차 전지 소재 임가공 설비 신규 시설 투자 발표
■ 재무 정보
- 시총 4640억
- 22년 2분기 매출 235억, 영업이익 45억, 당기순이익 40억 (부채비율 43.2%, 유보율 1817%)
9. 금양
■ 관련 사업
- 미세입자 균질 가공 기술을 도입한 수산화리튬 가공 사업 진행 중
- 2020년 최대 1만 1천 톤 규모의 수산화리튬 가공 설비를 구축하여 양극재 업체에 납품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9898억
- 22년 2분기 매출 606억, 영업이익 38억, 당기순이익 22억 (부채비율 149.7%, 유보율 3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