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연료전지는 2차 전지(리튬이온 배터리)와 함께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서 수소 에너지 인프라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안을 내놓고 있으며 수소 에너지 사업을 기업의 신성장 동력으로 채택한 여러 기업들의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가 이어지고 있어 수소 산업 전반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소연료전지란?
수소연료전지는 수소를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시켜 그 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는 탄소의 배출이 없고 수증기만 발생을 시켜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수소연료전지 시장 전망과 호재
업계에 따르면 수소연료전지 시장은 매년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이며 2030년 경에는 약 50조 원의 시장 규모를 형성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호재 1) -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 무기화에 따른 유럽의 수소 에너지 비중 확대
러시아가 반러 진영의 대다수 유럽국가를 상대로 석유나 천연가스의 공급망을 차단시키며 경제적 고립에 대항하고 있습니다. 이에 유럽 각국은 러시아산 에너지원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석유와 천연가스의 신규 공급망 확대하고 태양광, 풍력, 원자력,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원의 비중을 확대시키고 있어 유럽 지역 수소 산업 활성화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호재 2) - 미국의 신생 에너지 활성화 정책
미국은 최근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 통과에 따라 신생 에너지 산업의 활성화를 통해 기후 변화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수소는 생산 방식에 따라 그린, 그레이, 브라운, 블루 수소로 구별되는데 이중 그린 수소는 태양광 발전과 같은 친환경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이용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은 수소입니다. 미국의 이번 법안에는 그린 수소 생산 1KG당 3달러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생산 세액공제' 방침을 포함하고 있어 수소 에너지 관련 기업들의 적극적인 설비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호재 3) - 중국의 수소 산업 경쟁력 강화 움직임
최근 광둥성은 2025년 까지 수소 에너지 인프라 공급 계약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차량 1만 대 달성과 수소 충전소 200곳을 설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광둥성은 중국 내 제조업의 중심지로 불리며 지난 2021년 '한국-광둥 수소 경제 협력 세미나'를 통해 수소연료전지 산업의 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습니다.
호재 4) - 수소법 개정안 본격 시행
국내에서는 오늘 12월 부터 수소 법 개정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수소 산업 전반의 인프라 구축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청정 수소의 생산부터 활용까지 수소 산업 전반의 생태계 구축을 목적으로 청정 수소를 명확히 정의하고 이에 대한 판매 또는 사용에 대한 제도적인 의무를 부여하여 수소 산업 발전을 뒷받침한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유관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정리
대표적인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15종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두산퓨얼셀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국내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공급 점유율 1위 업체 (2022년 75% 시장 점유율 예상)
- 인산형, 고분형, 고체산화물 수소연료전지 생산
- 22년 7월 쉘·한국조선해양과 선박 연료전지 컨소시엄 계약 -> 선박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실증 사업 진행 목적
[재무 정보]
- 시총 2조 5739억
- 22년 2분기 매출 741억, 영업이익 8억, 당기순이익 1억 (부채비율 48%, 유보율 6189%)
2. 에스퓨얼셀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건물용,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공급 및 수소 에너지 팹리스(시스템 설계) 업체
- 한국에너지공단 선정 '2022년 수소연료전지 전국 A/S 사업자'로 선정
- 22년 6월 울산 도시개발공사, 롯데건설과 스마트팜 연계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개발 업무 협약 체결
[재무 정보]
- 시총 1787억
- 22년 1분기 매출 79억, 영업이익 1억, 당기순이익 -3억 (부채비율 89%, 유보율 1907%)
3. 범한퓨얼셀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잠수함용, 건물용,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 수소압축기, 수소충전기 개발 및 공급
- 21년 기준 전국 22개 수소충전소 구축 완료
- 22년 7월 친환경 선박용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실증 사업 진행 (2023년 12월까지)
[재무 정보]
- 시총 3570억
- 22년 2분기 매출 146억, 영업이익 9억, 당기순이익 7억 (부채비율 24%, 유보율 2433%)
4. 일진 하이솔 루스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수소 연료 탱크, 모듈 전문 기업
- 수소 저장 시스템, 천연가스 저장 시스템 솔루션 및 노후 경유차량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제공
- 21년 7월 삼성중공업과 수소연료전지 선박 개발을 위한 MOU 체결
[재무 정보]
- 시총 1조 3999억
- 22년 1분기 매출 143억, 영업이익 4억, 당기순이익 10억 (부채비율 8%, 유보율 1597%)
5. 비나텍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원통형,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리튬 커패시터(에너지 저장장치) 전문 기업
- 중형 커패시터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업체
- 2002년 CNF(Carbon Nano Fiber) 기술 확보로 수소연료전지 시장 진출 -> 양이온 분리막 수전해 스택에 사용되는 MEA(분리막 전극 접합체) 제조
[재무 정보]
- 시총 3095억
- 22년 2분기 매출 212억, 영업이익 48억, 당기순이익 58억 (부채비율 120%, 유보율 1985%)
6. 효성첨단소재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수소 연료 탱크 및 수소 충전소용 탄소섬유 소재 생산 기업
- 21년 5월 전주공장 탄소섬유 생산 라인 증설 계획 발표 -> 2028년까지 약 1조 원의 투자 진행으로 연간 24000톤 생산 예정임
- 21년 4월 한화솔루션에 1600억 규모 수소연료전지 탱크용 탄소섬유 공급 계약 체결
[재무 정보]
- 시총 1조 9197억
- 22년 2분기 매출 1조 248억, 영업이익 976억, 당기순이익 579억 (부채비율 310%, 유보율 2625%)
7. 상아프론테크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수소연료전지 핵심 소재 고분자전해질막(멤브레인) 생산 기업
- 그 외 2차 전지 부품, 프린터 부품, 반도체 웨이퍼 캐리어, 이형필름, 디스플레이 보관/이송용 카셋, 자동차 부품 등 제조
[재무 정보]
- 시총 5428억
- 22년 1분기 매출 411억, 영업이익 29억, 당기순이익 19억 (부채비율 84%, 유보율 2181%)
8. 금양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발포제, 백색 안료, 2차 전지 소재 등 제조
- 자회사 '금양 이노베이션'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분야 '초미세 나노입자 합성 촉매 기술'의 상용화 연구 진행 중
- 국내 세 번째 '원통형 2차 전지' 제조 기업
[재무 정보]
- 시총 6052억
- 22년 2분기 매출 606억, 영업이익 38억, 당기순이익 22억 (부채비율 149%, 유보율 314%)
9. 지엠비코리아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차량용 트랜스미션, 베어링, 엔진 부품 제조 기업
- 현대차 수소연료전지용 전동식 워터펌프 공급 업체
[재무 정보]
- 시총 1081억
- 22년 2분기 매출 1441억, 영업이익 25억, 당기순이익 82억 (부채비율 112%, 유보율 2484%)
10. 미코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세라믹 소재, 디스플레이 부품 전문 기업으로
- 자회사 '미코파워'는 고체산화물 수소연료전지(SOFC) 전문 개발 기업으로 건물용 SOFC 시스템 브랜드 'TUCY'를 제공하고 있음
- 22년 3월 충청남도 수소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실증 사업 참여
[재무 정보]
- 시총 2891억
- 22년 1분기 매출 997억, 영업이익 199억, 당기순이익 120억 (부채비율 91%, 유보율 1327%)
11. 평화산업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방진, 호스, 씰링 시스템 등 자동차 및 전투 차량용 부품 공급 업체
- 차량용 수소연료전지 스택 개스킷 공급
[재무 정보]
- 시총 988억
- 22년 1분기 매출 1166억, 영업이익 -4억, 당기순이익 -5억 (부채비율 794%, 유보율 -64%)
12. 삼보모터스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 (스탬핑, 튜빙, 기어박스 파트) 공급 기업 -> 전기차, 수소차량용 부품 공급 업체로 전환 중
- 수소연료전지용 MEA, GDL(기체확산층), 금속분리판 개발 완료
- 전기차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회생 제동 시 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BSA(배터리 시스템 어셈블리) 개발 사업 완료 단계
[재무 정보]
- 시총 889억
- 22년 1분기 매출 2672억, 영업이익 -12억, 당기순이익 24억 (부채비율 237%, 유보율 2429%)
13. 코오롱인더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전자 재료, 페놀/에폭시/석유/폴리우레탄 수지, PET/나일론/증착 필름 및 각종 산업 소재 공급 기업
- 수소연료전지용 수분제어장치 글로벌 점유율 1위 기록 중 -> 현대차 '넥쏘'에 탑재
- 수소연료전지용 고분자전해질막 설비 구축과 함께 MEA(막전극 접합체) 양산 예정
- 2030년까지 수소연료전지향 매출 1조 원 달성 계획 시사
[재무 정보]
- 시총 1조 4970억
- 22년 2분기 매출 1조 3883억, 영업이익 885억, 당기순이익 442억 (부채비율 122%, 유보율 1604%)
14. 지아이텍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수소연료전지, 2차 전지용 슬롯다이 및 코팅/후공정용 장비 제조 기업
- 수소연료전지 핵심 공정인 MEA 박막 코팅과 전해질막 코팅용 슬롯다이 생산
- 22년 6월 수소연료전지 소재 생산 기업 '코멤텍'에 30억 규모 분리막 코터 장비와 후공정 전사 장비를 납품함
[재무 정보]
- 시총 1244억
- 22년 2분기 매출 116억, 영업이익 22억, 당기순이익 23억 (부채비율 27%, 유보율 1280%)
15. 유니크 - 수소연료전지 관련주

[주요 사업]
- 수소연료전지용 FPS 밸브, 수소탱크용 솔레노이드 밸브 전문 제조/공급 업체
- 2020년 현대차 '넥쏘' 수소탱크 솔레노이드 밸브 공급 기업으로 선정
[재무 정보]
- 시총 1287억
- 22년 2분기 매출 650억, 영업이익 6억, 당기순이익 0억 (부채비율 106%, 유보율 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