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R의 공포란 무엇일까? R의 공포 뜻, 유사 개념, 경기 침체 vs 둔화 비교

눈떵이 2024. 8. 10. 18:52
반응형

최근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곳곳에서 'R의 공포'라는 주식용어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주식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분들께서는 다소 생소한 단어일 수 있는데요, R의 공포란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의 공포란?

R의 공포는 Recession의 약자로,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합니다. 경제가 둔화되고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어 주식 시장이 하락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러한 불안감은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고,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경제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가 현실화되면, 실업률이 증가하고 소비가 위축되는 등 일반 서민들의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물론 일반 대중에게도 큰 관심사가 됩니다. 

 

R의-공포-썸네일

 

VIX지수

VIX 지수는 CBOE Volatility Index의 약자로,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산출하는 변동성 지수입니다. S&P 500 지수의 옵션 가격을 기반으로 산출되며, 시장의 불안정성 또는 공포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VIX 지수가 높을수록 시장이 불안하고 변동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 차트에서 글로벌 증시가 큰 폭의 하락을 보인 8월 5일 VIX지수는 65포인트까지 급등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네이버)

 

R의 공포와 VIX 지수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VIX 지수는 R의 공포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VIX 지수를 활용하여 시장의 불안정성을 파악하고, 투자 결정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 vs 경기 둔화

경기 침체와 경기 둔화는 비슷하지만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R의 공포는 경기 침체(Recession)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2분기 연속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경우를 경기 침체라고 합니다. 반면에 경기 둔화(Slow-Down)는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지만, 아직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R의공포-경기침체-경기둔화-비교

 

언론이나 금융당국에서는 종종 시장의 불안감을 낮추기 위해 '경기 침체' 대신 '경기 둔화'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R의 공포 과거 사례

R의 공포는 유가 급등, 자연재해, 지정학적 리스크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여 확산됩니다. R의 공포가 실제 경기 침체 상황으로 이어진 대표적인 사례로는 2008년 금융위기, 코로나 사태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시작으로 전 세계적인 금융 위기가 발생하며 주식 시장이 폭락했습니다. 이는 대표적인 'R의 공포'가 현실화된 사례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 경제가 마비되면서 'R의 공포'가 확산되었고, 주식 시장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R의 공포와 유사 개념 주식 용어

다음의 용어들은 R의 공포처럼 경기, 또는 증시가 불안할 때 자주 등장하는 표현들입니다.

  • Bear Market - 주식 시장에서 가격이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시장을 말하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질 때 자주 나타납니다.
  • Black Swan - 예측할 수 없고, 발생 확률이 매우 낮지만 일단 발생하면 경제나 금융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 Double Dip Recession - 경기 침체에서 회복된 후 다시 침체로 빠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첫 번째 침체에서 벗어났다고 생각했을 때 다시 침체에 빠지게 되면 시장에 큰 불안을 초래합니다.
  • Economic Downturn -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경제 활동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기 침체가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 경계감을 불러일으킵니다.
  • Market Panic - 경기 침체에 대한 두려움이 극대화되어 시장 전반에 걸쳐 급격한 매도세가 나타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