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주식 용어] BPS PBR 알아보기

눈떵이 2022. 8. 11. 23:0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번 PER, EPS 공부에 이어서 BPS과 PB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BPS (Bookvalue-Per-Share) - 주당순자산가치

 

'주식 1주당 가치가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수치로 흔히 기업의 '청산가치'라고도 불리는데요, 이는 어떤 기업이 영업 또는 생산 활동을 중단하고 문을 닫는 상황이 된다면 그 기업은 자신들의 부채를 상환하고 남은 자본금을 투자자에게 돌려주게 되는데 이때 BPS를 통해 주식 1주당 '장부상'의 가치를 따져볼 수 있게 됩니다.

 

BPS  =  (지배주주지분)자본총계  /  발행주식수(보통주+우선주)

 

BPS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주 자본금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인데요 이때 비지배 주주의 자본은 제외한 '지배 주주 지분'의 총자본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리고 발행 주식수는 우선주가 있을 경우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산한 값으로 계산합니다.

 

그러면 삼성전자의 최근 분기(22년 1분기) 재무 정보로 한번 실제로 계산을 해볼까요

 

네이버 증권 삼성전자 재무 정보
출처: 네이버 증권

먼저 네이버 증권에 보시게 되면 위에 화면처럼 오른쪽 하단에 해당 기업의 PBR과 BPS가 바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그럼 삼성전자의 22년도 1분기 BPS 45,106원은 어떻게 계산된 값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삼성전자 1분기 (지배주주)자본총계 = 306,391,900,000,000 원 (3,063,919억)

▶ 삼성전자 총 발행 주식수 = 보통주 5,969,782,550주 + 우선주 822,886,700주 = 총 6,792,669,250주

306,391,900,000,000 / 6,792,669,250 = 45,106 (BPS)

삼성전자의 BPS 계산을 직접 한번 해봤는데요, 

 

BPS는 위에서 언급 한 바와 같이 장부상의 기업 가치로 실제 그 회사가 현재 주식 1주당 얼마만큼의 자본을 가지고 있는지로 해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위에 설명드린 BPS 즉, 1주당 실제 장부상 가치 대비 현재 주가의 값(비율)으로 투자자들은 현재 거래되고 있는 주가가 그 기업의 장부상 가치와 비교했을 때 고평가, 저평가, 또는 적정주가 상태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PBR은 BPS를 약간 활용한 개념이니 간단히 예로 설명드리겠습니다.

 

PBR  =  현재 주가  /  BPS

 

삼성전자를 예로 들면 PBR은 아래의 계산을 통해 1.31이 나오게 됩니다.

▶ 삼성전자 현재 주가 = 59,100원

▶ 삼성전자 BPS = 45,106원

59,100 / 45,106 = 1.31(PBR)

여기서 일반적으로 PBR 1을 기준으로 현재 주가가 고평가 상태인지 또는 저평가 인지를 가늠하게 되는데요, 이는 어디까지나 보유 자본금 기준이기에 기타 여러 가지 시장의 상황(업종이나 해당 기업의 호재 또는 악재 등)을 함께 고려한 주가 판단이 이루어져야 되겠습니다.

 

또한 PBR과 BPS 역시 지난 분기 또는 지난 연도의 회계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되기에 당장 현재의 주가를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PER과 EPS가 기업의 생산성/수익성(Profitability)을 기준으로 산정되는 반면, PBR과 BPS는 자본금(Equity)을 기준으로 계산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BPS와 PBR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주식을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다들 열심히 공부해서 성공하는 투자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