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천연고무 가격 상승으로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는 합성고무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합성고무는 천연고무의 대체재로 꼽히고 있으며 천연고무 가격 상승뿐 아니라 미중 무역갈등, 중국의 경기 부양책 등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합성고무 수요 증가 기대감
① 천연고무 가격 상승
자연재해, 병충해 등으로 천연고무의 주요 생산지인 동남아 지역의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천연고무 가격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5월 말레이시아 천연고무 가격은 톤 당 1771 달러를 기록하면서 2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체재로 꼽히는 합성고무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② 미중 무역갈등
최근 미국이 중국산 라텍스 제품(의료용 장감 등)에 대해 품목별로 25~50%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에게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이번 조치로 제2의 라텍스 장갑 수축국인 말레이시아산 장갑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라텍스 원료를 생산·수출하는 화학 업체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美, 中에 관세 때리자…ESS·석유화학주 뜬다
美, 中에 관세 때리자…ESS·석유화학주 뜬다, 중국산 배터리에 고율 관세 부과 LG엔솔 등 ESS산업 반사익 SK이터닉스·LS일렉트릭도 강세 중국산 수술장갑도 관세 인상 금호석유·LG화학에 호재 태
www.hankyung.com
③ 중국 경기부양 기대감
최근 중국 내부적으로 경기부양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이구환신' 또한 국내 화학업체들에게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이구환신은 산업 설비 등을 새것으로 교체할 때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으로 중국의 내수 경기 회복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산업용 설비뿐 아니라 가구, 가전 등 내구소비재까지 확대적용되고 있어 합성고무를 비롯한 석유화학 제품 및 원료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합성고무 관련주
1. 금호석유
■ 관련 사업
- NB라텍스와 타이어용 합성고무 제품 SBR, SSBR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NB라텍스의 경우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음
- 국내 최대 규모 합성고무 생산 시설을 보유 중이며 브릿지스톤, 한국타이어 등 국내외 주요 타이어 업체에 제품을 공급함
■ 재무 정보
- 시총 4조 983억
- 24년 1분기 매출 1조 6675억, 영업이익 786억, 당기순이익 1026억 (부채비율 41%, 유보율 3472%)
2. LG화학
■ 관련 사업
- 합성고무, 에틸렌계 합성수지, 프로필렌계 합성수지 등 다양한 석유화학제품을 생산 및 판매 중
- 중국 현지 공장을 통해 니트릴 장갑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합성고무 소재인 NB라텍스를 생산
■ 재무 정보
- 시총 26조 4368억
- 24년 1분기 매출 11조 6094억, 영업이익 2646억, 당기순이익 3417억 (부채비율 90%, 유보율 7942%)
3. 롯데케미칼
■ 관련 사업
- 합성고무, 합성수지 생산의 기초 원료로 쓰이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생산
- 국내 1위 에틸렌 생산 기업으로 미국 루이지애나 주에 현지 에틸렌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4조 8850억
- 24년 1분기 매출 5조 861억, 영업이익 -1353억, 당기순이익 -604억 (부채비율 72%, 유보율 6866%)
4. 대한유화
■ 관련 사업
- 합성고무의 원료인 부타디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을 생산
- 최근 부타디엔과 합성수지 제품 3종(HDPE, PP, PCR-PP)에 대해 ISCC PLUS 인증을 획득함. ISCC PLUS는 유럽연합의 재생에너지 규정에 근거해 친환경·저탄소 원료 사용 제품에 부여하는 국제인증으로 업계에서 높은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9756억
- 24년 1분기 매출 6636억, 영업이익 -157억, 당기순이익 -66억 (부채비율 21%, 유보율 4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