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확산에 따른 전력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미국의 대중국 관세 정책 확대로 반사이익이 예상되고 있는 ESS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SS란?
ESS는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점에 방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입니다. 리튬이온전지, 납축전지 등 다양한 전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변환장치(PC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을 통해 충전과 방전을 제어합니다.
ESS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간헐성을 보완하고, 전력 피크 기간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전력 수요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력거래시장에서 전력 실시간 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산업체에서는 ESS를 활용하여 전력 피크 시간대 부하를 분산시키고, 비상 전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정이나 빌딩에서도 전기요금 절감을 위해 ESS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ESS 기술 발전과 함께 대규모 ESS 프로젝트 추진, ESS 제품 및 솔루션 개발, ESS 서비스 사업 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ESS는 에너지 저장을 통한 전력망 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위한 핵심 인프라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ESS가 주목 받는 이유
'ESS 호황' 전망에 관련주 들썩…SK이터닉스 9%대 '강세'
'ESS 호황' 전망에 관련주 들썩…SK이터닉스 9%대 '강세', 진영기 기자, 증권
www.hankyung.com
AI의 확산과 더불어 전력망 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신재생에너지와 더불어 ESS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2차전지 가격의 하락 사이클과 맞물리면서 ESS를 찾는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대중국 관세 대상에 배터리 및 소재/부품(7.5% ▷ 25% 인상)이 포함되면서 국내 ESS 관련 업체들이 반사이익을 얻게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특히 미국에서 이번 관세 인상에 EU(유럽 연합)도 공동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어 향후 유럽 국가들의 반응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ESS 관련주
ESS 관련주로는 ESS 인프라 관련 기업 및 부품 등을 공급하고 있는 벨류체인 업체들이 꼽히고 있습니다.
1. SK이터닉스
■ 관련 사업
- ESS 및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중
- 피크 저감 및 신재생에너지 연계 ESS 솔루션을 제공
- 제주, 강원, 울산 등 전국 각지의 800MWh 규모의 ESS를 운영하고 있음
■ 재무 현황
- 시총 8567억
2. 서진시스템
■ 관련 사업
- ESS,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등 고용량 리튬이온 저장장치 공급
- 국내외 발전, 에너지, 유틸리티 기업,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등을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음
- 최근 에이스엔지니어링 684억 원 규모 ESS 공급 계약을 체결함
■ 재무 현황
- 시총 1조 7212억
- 24년 1분기 매출 3257억, 영업이익 433억, 당기순이익 373억 (부채비율 191%, 유보율 1666%)
3. 피엔티
■ 관련 사업
- 2차전지 및 IT 핵심 소재 장비 전문 기업
- ESS 등 중대형 2차전지의 분리막, 음·양극 소재 생산에 사용되는 코터, 슬리터 등의 장비를 제조 및 공급 중
■ 재무 현황
- 시총 1조 506억
- 24년 1분기 매출 2045억, 영업이익 381억, 당기순이익 337억 (부채비율 234%, 유보율 3774%)
4. 와이엔텍
■ 관련 사업
- ESS 부품 공급 업체로 전기차 및 ESS용 Relay(개폐 장치) 제품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음
■ 재무 현황
- 시총 1361억
- 23년 4분기 매출 322억, 영업이익 85억, 당기순이익 65억 (부채비율 45%, 유보율 2479%)
5. 디아이
■ 관련 사업
- 반도체 검사장비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중이며 신사업으로 ESS 시장에 진출함
- 지난해 하반기 LG에너지솔루션과 71억 원 규모의 ESS 인클로저(특수 발전용 컨테이너) 공급 계약을 체결함
■ 재무 현황
- 시총 5603억
- 24년 1분기 매출 347억, 영업이익 -18억, 당기순이익 -13억 (부채비율 82%, 유보율 792%)
6. 디케이티
■ 관련 사업
- 디스플레이, 배터리, 통신용 전자부품 제조 전문 업체
- ESS용 파워 모듈 및 배터리팩, BMS 솔루션을 제공
■ 재무 현황
- 시총 2203억
- 23년 4분기 매출 681억, 영업이익 32억, 당기순이익 41억 (부채비율 80%, 유보율 1274%)
7. 삼진엘앤디
■ 관련 사업
- 2차전지 및 디스플레이 부품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있으며 ESS용 APU(예비저장장치) 제품을 공급함
■ 재무 현황
- 시총 339억
- 23년 4분기 매출 520억, 영업이익 -92억, 당기순이익 -186억 (부채비율 155%, 유보율 440%)
8. 아모그린텍
■ 관련 사업
- ESS, 고효율 자성소재, 나노멤브레인 등의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음
- 자체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ESS 제품 및 ESS 방열소재를 공급
■ 재무 현황
- 시총 1722억
- 23년 4분기 매출 406억, 영업이익 25억, 당기순이익 48억 (부채비율 150%, 유보율 662%)
9. 신성이엔지
■ 관련 사업
- 반도체, 2차전지 등의 클린룸 사업, 태양광, ESS 구축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중
- 태양광 및 ESS를 연계한 마이크로그리드 솔루션을 제공
■ 재무 현황
- 시총 4673억
- 23년 4분기 매출 1687억, 영업이익 40억, 당기순이익 -7억 (부채비율 142%, 유보율 139%)
10. 신성에스티
■ 관련 사업
- 2차전지, 자동차, IT 부품 전문 제조 기업
- ESS용 모듈 케이스, 커버 플레이트, BPU 케이스 등을 공급
- 최근 부산에 ESS 전용 공장을 설립하고 CAPA를 확대해 나가고 있음
■ 재무 현황
- 시총 2373억
- 23년 연간 매출 1247억, 영업이익 84억, 당기순이익 91억 (부채비율 40%, 유보율 2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