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유통 채널 및 브랜드의 다양화로 제조와 유통이 점차 분리됨에 따라 화장품 OEM·ODM 시장이 커지면서 관련 기업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마스크 해제와 더불어 식약처의 대중국 수출 지원 소식까지 전해지면서 수혜가 예상되고 있는데요, 화장품 OEM 및 ODM 사업을 영위 중인 대표적인 기업 10곳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화장품 OEM, ODM 차이
화장품 산업에서 OEM과 ODM은 서로 다른 비지니스 모델입니다. 기업의 역량에 따라 OEM과 ODM 중 한 가지 사업만 영위하는 곳도 있으며 두 가지 사업 모델을 모두 영위하는 곳도 있습니다.
OEM이란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의 약자로 '주문자상표부착생산'이라고도 하며 다른 회사의 브랜드 이름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를 말합니다. 화장품 산업에서 이는 제조업체가 브랜드의 사양 및 요구 사항에 따라 화장품을 생산한 다음, 해당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됨을 의미합니다. 브랜드는 제품 디자인을 소유하고 마케팅, 포장 및 유통을 담당합니다.
반면 ODM은 Original Design Manufacturer의 약자로 '제조업자개발생산'이라고도 하며 자체 브랜드로 화장품을 디자인하고 생산해 다른 기업이나 PB 브랜드에 판매할 수 있는 제조사를 의미합니다. ODM 제조업체는 제품 디자인, 제형 및 포장을 제어하고 클라이언트는 향 또는 포장 디자인을 선택하는 등 어느 정도 제품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습니다.
OEM과 ODM의 주요 차이점은 OEM은 다른 회사 브랜드의 제품을 제조하는 반면 ODM은 자신의 브랜드로 제품을 설계 및 제조하여 다른 회사 또는 개인 상표 브랜드에 판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장 전망
시장 조사 기관 글로벌 마켓 비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화장품 OEM 및 ODM 시장 규모는 약 64조 규모로 평가했으며 앞으로 7년 간 연평균 5% 수준의 시장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한 2030년 시장 규모는 약 9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관련주 10 종목
화장품 OEM·ODM 사업을 영위 중인 기업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코스메카코리아
■ 사업 내용
- OEM/ODM 제조 기업으로 기초, 기능성, 색조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음
- 주요 고객처로 에이블씨앤씨와 클리오 등이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1559억
- 22년 4분기 매출 1064억, 영업이익 38억, 당기순이익 -2억 (부채비율 89.7%, 유보율 2551억)
2. 잉글우드랩
■ 사업 내용
- 코스메카코리아의 자회사로 기초화장품 OEM/ODM 생산 전문 기업
- 세럼, 크림, 오일 등의 스킨케어 제품부터 BB크림, 컨실러, 파운데이션 등의 기능성 하이브리드 제품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제조
■ 재무 정보
- 시총 1339억
- 22년 4분기 매출 413억, 영업이익 28억, 당기순이익 -5억 (부채비율 45.5%, 유보율 1393%)
3. 코스맥스
■ 사업 내용
- 화장품 OEM/ODM 기업으로 자회사 코스맥스엔비티, 코스맥스바이오를 통해 건기식 및 의약품 시장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음
- 글로벌 600여 개의 뷰티 기업을 파트너로 두고 있으며 중국, 미국, 호주, 인도네시아 등지에 연구·생산 시설을 보유 중
■ 재무 정보
- 시총 9409억
- 22년 4분기 매출 4005억, 영업이익 24억, 당기순이익 -387억 (부채비율 214%, 유보율 9768%)
4. 한국콜마
■ 사업 내용
- 화장품 OEM/ODM 제조 기업으로 업계 최초 ODM 비지니스 모델을 국내에 도입함
- 국내 생산 자외선 차단제의 약 70% 점유율을 차지
- 2022년 화장품 용기 전문 기업 '연우'를 인수하면서 종합 ODM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 중
■ 재무 정보
- 시총 9175억
- 22년 4분기 매출 4791억, 영업이익 86억, 당기순이익 -473억 (부채비율 99.6%, 유보율 5665%)
5. 선진뷰티사이언스
■ 사업 내용
- 2022년 5월 OEM/ODM 시장에 진출했으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수익화를 기대하고 있음.
- 동남아 지역 화장품 유통업체를 주요 고객사로 하고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 OEM 공급 노하우를 바탕으로 OEM 및 ODM 사업을 확장 예정
■ 재무 정보
- 시총 976억
- 22년 4분기 매출 176억, 영업이익 12억, 당기순이익 167억 (부채비율 102%, 유보율 986%)
6. 오가닉코스메틱
■ 사업 내용
- 중국계 화장품 생산 기업으로 BB오일, 보습 크림, 비타민 크림 등 영유아 및 임산부용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음
- 카이나화장품유한공사를 통해 OEM 및 자체 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 중
■ 재무 정보
- 시총 448억
- 22년 4분기 매출 414억, 영업이익 -346억, 당기순이익 -666억 (부채비율 18.6%, 유보율 87%)
7. 씨앤씨인터내셔널
■ 사업 내용
- 색조 화장품 OEM/ODM 전문 기업으로 아이라이너, 섀도우, 립글로스, 컨실러 등을 생산
- 국내 고객사 비중은 인디브랜드가 67%, 로드샵이 23%, 프레스티지가 9%를 차지하고 있음. 해외 지역 매출 비중은 북미 24%, 중국 10%, 그 외 아시아 지역이 8%를 차지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3920억
- 22년 4분기 매출 384억, 영업이익 47억, 당기순이익 8억 (부채비율 33.3%, 유보율 13355%)
8. 한국화장품제조
■ 사업 내용
- 색조 및 기초 화장품 OEM/ODM 전문 기업으로 1600여 종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제품 기획부터 브랜딩, 유통까지 토탈 제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1108억
- 22년 4분기 매출 203억, 영업이익 -2억, 당기순이익 4억 (부채비율 74.9%, 유보율 2028%)
9. 본느
■ 사업 내용
- 기초 및 색조 화장품 OEM/ODM 기업으로 터치 인 솔, 포레스트 힐, 스테이지 큐 등의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문 제품의 기획부터 패키징 디자인, 마케팅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478억
- 22년 4분기 매출 174억, 영업이익 7억, 당기순이익 -8억 (부채비율 175%, 유보율 769%)
10. 토니모리
■ 사업 내용
- 자회사 메가코스를 통해 기초 및 색조 화장품의 OEM/ODM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재무 정보
- 시총 1202억
- 22년 4분기 매출 346억, 영업이익 -2억, 당기순이익 -10억 (부채비율 104%, 유보율 1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