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많은 분들께서 보조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일목균형표의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일목균형표의 개념과 자세한 이론을 블로그의 한 페이지로 설명하기는 어려우니 일목균형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께서는 꼭 일목산인의 저서 '일목균형표'를 읽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1. 일목균형표란?
일본의 한 신문사 경제면을 담당하던 기자 호소다 코이치(필명: 일목산인)에 의해 만들어진 지표로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후행스팬, 기준선, 전환선의 다섯 가지 요소로 주가의 추세를 예측하며 다른 보조지표와 달리 시간의 개념이 접목되어 앞으로의 주가 추세를 예측하는 선행성 지표로도 활용됨
2. 구성 항목
선행스팬 1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을 26일 미래에 표기한 값
선행스팬 2
최근 52일간의 (최고가 + 최저가) / 12를 26일 미래에 표기한 값
후행스팬
현재 주가를 26일 과거에 표기한 값
기준선
최근 26일간의 평균값
전환선
최근 9일간의 평균값
3. 설정 방법 (kb증권 모바일 기준)
1. 주식현재가 화면에서 차트 우측 상단 톱니바퀴 아이콘 클릭
2. 오버레이 메뉴에서 '일목균형표' 왼쪽 체크 후 오른쪽 연필 모양 클릭
3. 세부 설정에서 기간, 선색상, 선 굵기 선택 및 원하는 메뉴 선택 후 나가기 누르면 설정 완료
4. 일목균형표를 활용한 주가 분석
(전환선과 기준선 분석)
전환선 > 기준선 일 때 ➡️ 매수 시점
전환선 < 기준선 일 때 ➡️ 매도 시점
(후행스팬과 주가 분석)
기준선이 상승 추세 시, 후행스팬이 주가를 상향 돌파하면 주가가 강세로, 반대로 후행스팬이 주가를 하향 돌파시 주가가 약세로 전환을 의미
(선행스팬의 분석)
• 참고: 구름대는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 와의 차 잇 값(선행스팬 1 - 선행스팬 2)을 나타내며 값이 플러스면 양운, 마이너스면 음운이라고 함. 여기서 구름층의 두께는 매물이나 세력의 지지 또는 저항 강도로 해석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주가 아래의 구름때는 지지선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주가 위에 위치한 구름때는 저항선이 될 수 있음
[활용 예시]
이렇게 일목균형표에 대해 한번 알아보았는데요, 어디까지나 '보조지표'이니 절대로 맹신하지는 마시고 다른 여러 지표와 함께 병행하여 본인만의 매수, 매도 타이밍을 잡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